반응형 영화118 서울의 봄2는 'YS프로젝트'? 2023년에 서울의 봄, 후속은?2023년 개봉하여 2024년 초까지 영화관을 휩쓸었던 작품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작품 서울의 봄이었습니다.영화가 다루는 내용은 한국이 현재의 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고비를 만들어냈던 일명 12.12사태를 그린 작품으로 긴박했던 단 하룻밤의 이야기를 담아냈지만 그 의미는 2024년 연말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12.3으로 인해 더욱 커져 긴 기간 동안 회자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영화의 높은 흥행율로 의미를 남긴 것 이외에 역사를 기록한 문화매체로서의 의미도 가지게 된 서울의 봄.때문에 이 제작진이 준비하는 다음 이야기가 무엇일지 기대하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YS프로젝트영화 서울의 봄이 워낙 큰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이후.. 2025. 3. 21. 영화 '콰이어트 라이프' 실제사건 (Resignation syndrome) 사직 증후군은 실제 하는 걸까?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개봉하지 않은 영화 '콰이어트 라이프'.이 영화는 실제 존재하는 실화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영화입니다.스웨덴에서 살고 있는 난민가족, 그리고 그 가족의 두 아이가 겪고 있는 증후군을 소재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 이야기는, 실제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그 원인을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사직 증후군이라는 증상을 보여줍니다. 사직 증후군, 영문으로는 Resignation syndrome로 표기되는 이 증상은 일종의 무기력한 증상을 표현하는 용어로 1990년대 스웨덴에서 처음으로 이름을 붙여 명명하였고, 일반적으로 긴 이주를 통해 삶의 터전을 옮기는 과정에서 심리적인 위기를 겪었던 어린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5. 3. 17. 영화 '루프맨' 실존인물 제프리 멘체스터는 누구? - Roofman (Jeffrey Manchester) 영화 루프맨은 실존인물이었다?체닝 테이텀 주연의 영화 루프맨은 2025년 가을에 개봉을 예정으로 제작되고 있는 실화를 배경으로 한 작품입니다.아직 미국에서도 개봉을 하지 않은 미공개 작품이고 개봉예정만 되어있어 공개된 내용 자체는 많지 않지만 실제로 미국에서 존재했던 인물을 모델로 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야기 자체는 어느 정도 추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영화로 개봉되는 루프탑은 영화적 재미를 위해 실화와 어느 정도 다르거나 혹은 좀 더 강조된 각색이 포함될 것으로 보이지만 그럼에도 이 이야기의 배경이 실화라는 점을 감안하여 실제 이 이야기의 주인공과 사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주인공의 이름은 제프리 맨체스터루프맨으로 불렸던 실존인물의 이름은 바로 제프리 맨체스타입니다.루프맨이라는 별칭.. 2025. 3. 13. '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 세자빈은 누구일까? - 드라마 공개전 예측 '강빈?' '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는 역사 판타지물'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 는 조선을 배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판타지물입니다.때문에 실존인물이라기 보다는 허구의 인물 혹은 실존인물에서 모티브를 따온 가상의 인물들이 그려내는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이런 인물 중 한명이 바로 세자인 '이강'이 세자인 시절 사망하게 되는 '세자빈'입니다.실제 우리나라의 역사에도 세자시절 혼인하여 아내의 역할을 하다가 이후 왕위에 오르기 전 사망하게 되는 인물이 몇 있었는데 그중 가장 역사적으로 다양한 논쟁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 바로 소현세자의 아내 강 씨입니다. 실존인물인 강빈, 어떻게 사망했나?실존인물인 강 씨는 17세의 나이에 소현세자와 혼인을 하여 세자빈이 된 인물입니다.이 당시 소현세자는 인조의 뒤를 이을 세자.. 2025. 3. 5. '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 이강의 실존인물은? 드라마 '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세자와 보부상의 영혼이 바뀌는 것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는 작품으로 일종의 퓨전 사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작품 자체가 판타지물이고, 시대적인 배경만을 역사에서 끌어오고 있기 때문에 등장하고 있는 인물 역시 실제 아무래도 허구의 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그럼에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실존인물에서 어느 정도 모티브를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도 할 수 있는 것이 사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주인공인 세자 '이강'의 실존인물 모티브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강 - 의친왕의 본명, 고종의 두 번째 아들세자빈 사망 - 문종, 소현세자, 경종대리청정 - 문종, 경종, 영조, 사도세자.. 2025. 3. 1. 영화 무솔리니 최후의 날, 실존인물 무솔리니 - 독재자의 최후 영화 무솔리니 최후의 날영화라는 매체는 사실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재미와 흥미를 자극해 무료한 하루의 시간을 좀 더 다채롭게 하는 기능을 기본으로 현재의 기록과 과거를 돌아보는 역할까지도 포함하여 다양하게 영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루하루가 만만치 않게 피곤한 상태로 지나가고 있는 요즘.현재 상영되고 있는 영화는 물론 과거의 영화에서도 이런 현실을 조금은 벗어나거나 혹은 타개할 아이디어를 얻을만한 작품들을 찾는 분들도 꽤 있는 것 같습니다. 마치, 을 본 관객이 황정민 배우의 연기를 보고 열을 받아, 황정민 배우가 힘들게 연기한 을 찾은 것처럼, 현실의 스트레스를 이것이 해소되는 스토리의 영화를 통해 조금은 풀어보려는 노력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도 같습니다. 그리고 만약, 이런 .. 2025. 2. 1. 영화 에비타 실존인물 에바 페론 - Eva Perón 대통령의 아내, 그리고 정치인전 세계 역사나 기록을 살펴보면, 아주 오래전부터 나라를 다스리던 왕 혹은 대통령의 곁을 지킨 여성들 중 남편 못지않은 정치력을 가졌던 인물들이 꽤 있습니다. 아주 최근들을 살펴보면 미국 클린턴 대통령의 아내 힐러리 클린턴이 그러했고 아주 오랜 역사 속에서는 희대의 요녀로도 불리는 클레오파트라 역시 뛰어난 정치력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실존인물이기도 합니다. 물론 클레오파트라의 경우 이후 역사적 평가가 여러번 엇갈리며 한때는 희대의 요부로 평가절하 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자신의 조국을 위해 뛰어난 정치력을 발휘했던 여왕으로 재평가되고 있기도 합니다. 에바페론은 바로 이런 다양한 측면을 가진 현대사에 실존하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아르헨티나의 가장 추앙받았던 여인에바 페론은 사.. 2025. 1. 24. 영화 하얼빈 등장인물 공부인, 실존인물 오항선 여사 영화 하얼빈의 공부인, 실제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이었다.영화 하얼빈에 등장하는 많은 이들은 일제 강점기, 빼앗긴 주권을 찾아오기 위해 자신들의 인생을 불사른 수 없이 많은 민중의 모습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그려냅니다. 역사적으로 이 고되고도 끈질긴 여정에 이름을 남긴 이들은 말 그대로 역사의 한줄이 되어 굵직한 이름을 남긴 이들도 분명 존재하지만, 이들과는 다르게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그저 자신들을 불사른 채 역사의 한 페이지에 독립운동가 혹은 항일부대등의 이름으로 줄여져 남긴 이들은 더욱 많은 것이 사실. 하얼빈에는 이렇게 역사에 이름을 남기지는 못했으나 각자의 위치에서 조국을 위해 최선을 다한 이들의 모습들이 영화적 상상력과 함께 곁들여져 여러 곳에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사람들 중 하나가 바.. 2025. 1. 17. 이전 1 2 3 4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