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1987 - 6월 민주화 항쟁 이한열 열사

by 호시리오 2023. 6. 11.
반응형

2017년 작 영화 1987에는 6월 항쟁과 관련 있는 많은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6월 항쟁의 시작이었던 박종철 군 고문치사사건, 그리고 다른 또 한 명의 인물이 바로 이한열 열사입니다. 

대표이미지

1.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으로 불붙은 민주항쟁

1980년대의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은 1987년 1월 박종철 군 고문치사사건이 세상 밖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불이 붙게 됩니다. 이후 대학생과 종교인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민주화 운동이 일반 대중에게도 호소력을 가지게 되면서 대규모 시위로 확대되게 되었고 1987년 6월 9일, 6월 10일로 예정되어 있었던 '6.10 대회' 출정을 앞두고 진행된 범 연세인 총 궐기 대회의 시위대 일원으로 참여했다가 시위대 진압을 위해 배치되었던 전경들이 직사로 쏘아댄 최루탄에 후두부를 가격 당하면서 이후 병원으로 옮겨졌다가 6월 9일 오후 5시 30분에 혼수상태에 빠진 후 뇌손상으로 인한 상태 악화, 합병증인 폐렴등이 발생하면서 1987년 7월 5일,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그가 병원에서 혼수상태로 누워있는 동안 6.10 항쟁은 더욱 거세게 불이 붙었고 그에 대한 결과로 당시 집권당이었던 민주정의당의 대표 노태우가 발표한 6.29선언으로 그가 꿈꾸었던 민주화는 이루어지게 되었지만 이한열 열사는 끝내 이 결과를 듣기 위해 깨지 못한 채 사망하였습니다.

 

6.29 선언
1987년 당시 집권당이던 민주정의당 대표 노태우가 발표한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해 말 개헌을 통해 실현되어 이 제도가 현재까지의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제도로 정작 되었습니다. 이후 노태우는 대한민국 국민이 직선제도를 통해 뽑은 첫 번째 대통령이 됩니다.

이한열열사

 

2. 영화 1897의 이한열 열사

영화 1987은 주로 박종철 군 고문치사사건을 둘러싼 이야기들로 스토리를 이어가지만 영화의 말미를 장식하며 이 영화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이연희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로 등장합니다. 이 영화에서 평범한 대학생활을 하는 여자 주인공 이연희는 초반 다른 친구들이 참여하고 있던 민주화 운동에 대해 그다지 호의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생계를 뒷전에 미뤄두다시피 하며 뛰어다니는 외삼촌도, 매캐한 최루탄 속을 헤매며 도망치는 다른 친구들의 외침도 그녀에게는 삶의 변화를 가져다주지 못하는 무의미한 행위로만 보입니다. 하지만 우연히 시위현장 곁을 지나게 되면서 만나게 된 남학생이나, 다름 아닌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들이 다치고 피해를 입는 과정들이 반복되면서 그녀가 가진 냉소적인 시선들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사실 당시의 대부분의 시민들이 이러한 감정의 변화를 통해 민주항쟁에 힘을 보태게 되는 모습들을 비교적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할 수 있습니다.

 

이한열열사1

 

이후, 연희가 우연히 만나게 되는 남학생이 바로 이한열 열사였음이 나타나는데, 영화 1987은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으로 촉발된 민주화 운동을 이한열 열사 사망사고로 마무리했다는 점에서 6월 항쟁의 시작과 끝을 두 사건을 모두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6월 민주항쟁을 잘 그려낸 영화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사실 영화 1897 내에서 이연희란 인물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그녀의 모습자체가 민주화 항쟁이 커지며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범대중적인 참여의 이유를 그린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23.05.18 - [분류 전체 보기] - 영화 1987 박종철 고문치사 축소 은폐사건과 6월 항쟁

 

영화 1987 박종철 고문치사 축소 은폐사건과 6월 항쟁

1980년 5월 18일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에도 민주화를 위한 노력은 끊이지 않고 지속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노력들이 이어져 1987년 6월의 민주항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영화 1987은 바로 이 과정

iwannaknoetha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