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하얼빈, 사실과 허구 사이의 어느 즈음.
새해와 함께 가장 관심을 많이 받은 작품은 누가 뭐래도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영화 <하얼빈>입니다.
이 영화가 주목을 받은 것은 여러 이유가 있었겠지만 아무래도 이 영화 자체가 엄청난 인지도를 갖춘 대형배우들의 줄 캐스팅으로 제작 단계부터 꽤 입소문을 탔다는 점, 그리고 영화에 등장하는 여러 이야기들이나 대사들이 현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또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에 여러모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사실 영화를 보는 내내 일부의 대사들은 마치 지금의 대한민국에게 하고 있는 이야기들처럼 들리는 부분들도 있어 꽤 놀랍기도 했는데 이런 부분들이 영화의 사실감을 더해주어 마치 역사적인 사실만으로 구성된 이야기인 것처럼 느껴지는데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실존인물과 가상의 인물
영화 하얼빈에는 실제로 역사적으로 그 행적이 밝혀진 실존인물도 있고, 일정 부분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인물의 행적과 부합하지만 디테일에서는 차이가 있는 절반의 가상인물도 존재합니다.
영화라는 창조적인 작업과, 관객을 끌어모아야 하는 상업적인 여백 사이에서 각본가와 감독은 사실과 재미라는 부분의 어느 즈음에서 합의해야할 필요성이 있었고 이 부분이 바로 실존인물과 실제 사건, 그리고 약간의 각색이 곁들여진 등장인물이라는 합의점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실제 역사의 기록과 거의 유사하게 표현되어있는 인물들은 실존인물 그대로의 이름을 사용하였고, 각색이나 가상의 스토이를 통해 구성된 인물들에게는 가명등을 이용하여 실존인물과 겹치지 않게 구성한 것이 바로 이 하얼빈의 등장인물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김상현이라는 영화의 등장인물입니다.
실제로 존재했지만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던 인물
하얼빈에서 조우진 배우가 열연했던 인물인 김상현은 사실 실존 인물 그 자체를 그린 인물은 아닙니다.
하지만 당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 중 실제로 이 인물과 유사한 흔적을 남긴 이들이 꽤 있었으며 이들을 일러 우리는 밀정이라는 호칭으로 불러왔습니다.
현대적인 용어로는 일종의 스파이라고 볼 수 있는 이 밀정은 대한제국이 일본에 주권을 빼앗기고 억압받는 시절,
독립운동을 하는 독립운동가들을 좌절하게 하고 우리 민족의 독립을 늦추었던 가장 거대한 적이기도 했습니다.
안중근과 함께 했던 일명 단지동맹 혹은 그 외의 여러 독립운동 단체에서도 이런 밀정들이 암약하며 활동했고 이들이 남긴 기록들의 일부를 모아 김상현이라는 인물을 창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얼빈의 김상현을 그리기 위해 가장 많이 참조한 인물은 바로 엄인섭이라는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존인물인 엄인섭
영화 하얼빈에서 그려진것처럼 엄인섭은 안중근과 꽤 친밀한 관계를 맺었던 인물입니다.
안중근과의 개인적인 관계는 의형제를 맺었을 만큼 신뢰관계가 두터웠는데 이 사실만으로도 당시의 여러 독립운동가들에게 신뢰를 얻었을 정도로 잘 알려진 인물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독립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엄인섭은 꽤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안중근과 함께 활동을 했습니다.
잘 알려진 여려 전투에 참여하며 안중근과의 관계를 이어나갔고 이후에는 일명 단지동맹이라고 불리는 결사대의 일원으로도 함께 하게 됩니다. 문제는 손가락을 잘라 서로의 의지와 결을 같이 하는 동맹을 맺었던 단지동맹의 결성당시에도 이미 일본의 밀정으로 활동하고 있었음이 후에 밝혀진 것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아주 명확하지는 않지만 기록에 따르면 엄인섭은 1908년에 스스로 일본 영사관에 방문하여 밀정이 될 것을 스스로 요청하였다고 되어있는데 이후 단지동맹이 결성된 것이 바로 1909년 3월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미 스스로 밀정이 되는 것을 작정하고 안중근과 그의 동료 곁을 맴돌며 매우 적극적으로 밀정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밀정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기까지는 10년이 훨씬 더 넘는 기간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엄인섭의 밀정활동은 당시 독립운동에는 엄청난 해악의 요소였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 독립운동사의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사건들이 그의 밀정 활동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가거나 많은 위기에 처했다는 것이 이후에 밝혀지기도 합니다.
다만 영화의 김상현과는 다른 점이자 결정적인 차이점은 영화의 김상현은 이후 다시 독립운동을 위해 동지들에게 돌아와 자신의 죄를 뉘우치지만, 엄인섭은 끝내 밀정으로 살아가다 동포들의 경멸 속에서 생을 마감했다는 정도를 꼽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영화 하얼빈의 경우 어느 정도의 허구와 영화로 보여주고픈 메시지를 위해 영화 속 가장 주요한 빌런 역할을 이후에라도 희망을 품을 수 있는 인물로 그려낸 것이라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4.12.21 - [분류 전체보기] - 영화 The Salt Path 실화 그리고 실존인물 이야기
영화 The Salt Path 실화 그리고 실존인물 이야기
영화 The Salt Path의 이야기영화 The Salt Path는 2025년에 개봉이 예정된 작품들 중 가장 잔잔하고 온화해 보이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중년에 들어선 한 부부, 그리고 병에 걸린 남편, 예상
iwannaknoethat.tistory.com
2024.11.23 - [분류 전체보기] - 영화 <하얼빈>의 이창섭 실제모델은? - 독립운동가 조도선
영화 <하얼빈>의 이창섭 실제모델은? - 독립운동가 조도선
영화 가상이지만 실존인물이다.독립운동가들이 활동했던 역사적인 시기와 인물들의 모습들을 그린 영화 하얼빈은 2024년 연말을 장식할 가장 주목받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이 유난히 이
iwannaknoethat.tistory.com
댓글